본문 바로가기

History

스리랑카 현대사_에필로그 1.비싼 돈 주고 산 론리플래닛을 열심히 읽어봐야지 하고 시작해서,영어가 수준 미달이라 어려운 단어를 찾다보니 이왕 하는 거 적어야겠다고 시작해서,궁금한 내용을 좀 더 읽어볼까 싶어서 또 다른 책을 사버려서,워드 파일에 정리한 것을 사진이랑 같이 첨부해서 정리할까 싶어서 그렇게 시작한 게 한 1년 전이지 싶다. 그리고 블로그에 글을 처음 쓴 것은 1월 25일이니 딱 5개월 걸렸다. 일주일에 미역국에 밥 말아먹듯 후루룩 하나씩 써 나갈 수 있을 줄 알았는데 말이지.그래도 그렇게 시작이 지난 덕분에 새로운 내용과 소식(유엔 보고서나 영국의 Channel 4 다큐나 유엔인권위원회 관련 최신 소식)까지 담아 낼 수 있었던 것 같다. 이렇게 감상평을 쓰고 있노라면 무슨 논문 한 편은 쓴 느낌이 드네 ㅋ랑카에서 해.. 더보기
스리랑카 현대사 07_종전과 평화 정착 (2006 - 2012) 싱할라 민족주의를 다시금 내걸고 나온 라자팍셔 대통령의 당선은 향후 스리랑카 내전의 방향을 가늠케 했다. 하지만 2006년 2월, 제네바 열린 평화회담에서 예상 밖으로 큰 성과를 내며 2002년 정전협정 이후 평화 진척을 위한 일진보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희망 섞인 관측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었다. 이런 희망이 비관으로 바뀌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았고 2002년 정전협정 이후 잠잠했던 내전은 완전하게 전면전 양상으로 바뀌었으며 LTTE의 자살폭탄테러 공격이 극에 달했다. End Game 2006년 - 전면전 평화회담이 열린 한 달 만인 3월, 동북부 지역인 트린코말리 (Tricomalee) 근처 해변에서 스리랑카 해군과 LTTE 사이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2002년 정전협정 이후 4년 만이다. .. 더보기
스리랑카 현대사 06_쓰나미와 라자팍셔 시대 (2004 - 2006) LTTE 지도부의 분열, 쿠마라퉁가 대통령과 위크러마싱하 총리 사이의 정치적 반목, 불투명한 평화회담의 미래와 같은 스리랑카의 열악한 정치적인 상황은 갑작스레 찾아온 비극적인 자연 재해로 가리워졌다. After The Tsunami 2004년 12월 26일 - 쓰나미 모든 이들의 예상을 뒤엎고 크리스마스 다음 날인 12월 26일,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에서 발생한 강력한 지진으로 인해 서부 일부 해안을 제외한 스리랑카 전역에 지진해일이 몰려왔다. 거대한 쓰나미는 보름인 포야와 크리스마스를 즐기던 3만 여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이는 20년간의 내전으로 희생당한 희생자보다 많은 숫자로 단 몇 분만에 희생된 것이다. 수천의 건물들과 섬 절반의 고기잡이 어선들, 주요한 도로와 철로가 파괴되었으며 수많은 사람들이.. 더보기
스리랑카 현대사 05_평화협상과 선거 (1994 - 2004) Peace Talks & Election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대통령의 자리에 올랐으며 인도평화유지군(IPKF)에 반대하여 폭동을 일으킨 JVP를 척결하고 IPKF의 철수에도 큰 역할을 한 쁘레머다써(Premadasa) 대통령이 1993년 LTTE의 자살 폭탄 테러에 의해 암살되면서 스리랑카 정계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 들었다. 세계 최초 여성 수상인 Sirimavo Bandaranaike와 스리랑카 첫 여자 대통령인 Chandrika Bandaranaike Kumaratunga 1994년 주요 야당인 스리랑카 자유당(SLFP)를 포함한 야당 연합인 국민 연합(PA, People’s Alliance)이 8월 총선에서 승리하였고 이어진 대통령 선거에서도 국민 연합의 대표인 찬드리카 반다러나이케 쿠마러뚱거(.. 더보기
스리랑카 현대사 04_인도 평화유지군과 자살폭탄테러 (1989 - 1993) Indian Peace Keeping Force & Suicide Bombing 싱가포르를 표방한 자야와르데네 대통령의 개방정책으로 스리랑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나 이내 LTTE의 정부군에 대한 첫 대형 공격으로 1983년 내전이 시작되면서 이러한 노력은 좌절되고 말았다. 이에 격분한 싱할라 사람들의 폭동이 이어졌으며 스리랑카의 평화를 위해 인도와 협의하여 파견한 "인도 평화유지군"은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켰다. 라너싱허 프레머다써(Ranasinghe Premadasa,1924-1993), 스리랑카 제 2대 대통령, 인도평화유지군 철수에 힘썼으며 LTTE의 폭탄 테러 공격에 생을 마감한다. 위제위러(Rohana Wijeweera, 1943-1989), 스리랑카 사회주의 정치인으로 민중해방전선(JVP).. 더보기
스리랑카 현대사 03_새로운 경제 정책과 내전 발발 (1977 - 1988) Paralysis Follows Economic Growth & Civil War 대학에서 타밀인 제한과 불교의 국교화를 위한 헌법 개정, 경제 및 산업의 국유화 정책 등으로 혼란스러운 정세와 어두운 경제 전망이 이어지며 세계 첫 여성 수상이라는 타이틀에도 불구하는 씨리마오 반다러나이케(Sirimavo Bandaranaike)가 이끄는 스리랑카는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JVP의 폭동이 일어났고 북부 지역에서는 소요사태가 지속되었다. 스리랑카의 경제는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1977년 실업률이 50%까지 상승했다. 결국 그녀는 야당뿐만 아니라 연립여당으로부터도 지지를 받지 못하는 수상이 되었고 정권교체의 요구에 직면하였다. 정권교체에 성공한 자여와르데네(J.R. Jayawardene) 1977년 - 정권교체 .. 더보기
스리랑카 현대사 02_민족 갈등의 시작 (1956 - 1976) The Roots of Tamil Opposition 고대 기원전 15세기부터 인도와 스리랑카 사이에는 왕래가 있었으며 (주로 북 인도인들의 이주 행렬) 기원전 3세기부터 타밀의 이주가 이루어졌다. BC 246년 불교를 받아들인 후, 살생을 금하는 불교의 가르침에 따라 군대 양성에 소극적이었던 스리랑카 왕조는 주로 타밀인들을 용병으로 사용하면서 본격적인 이주가 시작된 것이다. 이후 5, 6세기에는 남인도 힌두 타밀 제국이 불교 싱할라 통치자들을 위협하는 세력이 되었으며 14세기 초 번성했던 폴론나루와(Polonnaruwa) 왕권이 쇠퇴하면서 스리랑카 북쪽 지역인 자프나(Jaffna)에 처음으로 타밀 왕조인 자프나빠트남(Jaffnapatnam)가 세워졌다. 이처럼 싱할라왕조의 북쪽 수도가 쇠퇴하고 남쪽으로.. 더보기
스리랑카 현대사 01_민족주의 움직임과 독립 (1900 - 1955) Nationalism and Independence 20세기의 시작은 스리랑카 민족주의 운동에 중요한 시기였다. 1505년부터 이어진 약 440년간의 근세 식민시대를 거치면서 신경제제도의 채택과 영어 공용어화 교육등 서구 문화의 영향으로 19세기 전반에 스리랑카 전통은 극히 약화되었다. 하지만 19세기가 끝나가면서 서구 문화에 맞서고 기독교의 영향으로부터 자문화를 지키며 유럽 식민지의 잔재에서 벗어나기 위한 불교와 흰두 부흥 운동이 일어났다. 이러한 움직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불교 부흥 운동은 데이비드 레와위타라네(David Hewavitharane, 1864-1933)의 주도하에 전개되었다. 그는 '달마를 지키는 방랑자'라는 의미를 지닌 아나가리카 다르마파라(Anagarika Dharmapala)로.. 더보기
스리랑카 현대사_프롤로그 1. 스리랑카에 가기로 결정할 무렵, 인터넷을 통해 찾은 정보들은 내전, 중진국, 실론티, 영국 식민지, 영어사용, 해외유학, 불교, 쓰나미 와 같은 것들이었다. 이런 단어들이 주는 이미지의 조합으로 스리랑카를 이해했고 나에게 스리랑카가 어떤 곳이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이런 수준에서 이야기해주었다. 말로 풀어쓰면 이정도가 될 것이다. "영국 식민지를 겪어서 영어 사용 인구가 많아서 한국에서 영어 배우러 가는 곳이래. 최근까지 내전을 겪었고 요새는 경제가 발전하면서 중진국 대열에 합류하였고, 쓰나미로 많은 피해를 입기고 했데. 아, 홍차가 유명하고 불교 국가야!" 스리랑카의 작은 마을인 와라카폴라(Warakapola)에 와서 진짜 삶을 시작한 이후에도 이 곳에 대한 정보와 인식의 수준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더보기